부품 – 고정저항

저항은 말 그대로 저항을 갖도록 만들어진 부품입니다. 정해진 고유한 저항 값이 있기 때문에 저항 값을 변경하거나 할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저항이라고 하면 지정된 저항 값을 가진 고정저항을 말합니다.

저항의 그림 기호는 톱날모양이며 R 이라고 표시합니다. 저항의 종류에는 탄소저항, 고체저항, 권선저항, 법랑저항, 시멘트 저항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탄소저항을 사용하게 됩니다. 저도 주로 사용한 것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탄소 저항입니다.

저항의 그림기호

저항의 그림기호

저항 값의 단위는 옴(Ohm, Ω)을 사용합니다. 1000Ω은 1KΩ(킬로옴), 1000KΩ은 1MΩ(메가옴) 입니다. 저항 값은 반드시 꼭 일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비슷한 값의 저항이면 문제없이 동작합니다. 여러 가지 기기를 제작 하다 보면 저항이 하나 모자라서 완성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저항 값이 비슷한 저항을 사용하여 완성시킬 수 있습니다. 아니면 저항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여 저항 값을 맞추어 사용하셔도 됩니다.

다음은 여러 가지 모양의 저항입니다.

여러 가지 저항의 모양

여러 가지 저항의 모양

가장 위에 있는 두 종류의 저항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맨 밑에 있는 것이 시멘트 저항인데 실제 사용해 본적은 없습니다. 제작을 위해서 구매는 해 놓았는데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시멘트 저항의 경우 정력전력과 저항 값이 기재되어 있고 나머지는 색상 띠를 보고 읽으면 됩니다.

다음의 그림과 표를 참고하여 저항 값을 읽으면 됩니다.

저항 값 읽는 방법

저항 값 읽는 방법

색상 첫째수 둘째수 배수(곱하는 수) 허용오차(%)
검정 0 0 100 = 1
갈색 1 1 101 = 10 (±1)
빨강 2 2 102 = 100 (±2)
주황 3 3 103 = 1000
노랑 4 4 104 = 10000
초록 5 5 105 = 100000
파랑 6 6 106 = 1000000
보라 7 7 107 = 10000000
회색 8 8 108 = 100000000
흰색 9 9 109 = 1000000000
금색 10-1 = 0.1 (±5)
은색 10-2 = 0.01 (±10)

예를 들어 갈색, 검정, 빨간 색 순으로 색상 띠가 칠해져 있다면 10 x 100 = 1000Ω = 1KΩ 이 됩니다.

이런식으로 몇번 반복하다 보시면 자동으로 색상 띠만 보시고 저항 값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저항에는 어느 정도의 전력에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격전력이 있는데 전류의 제곱과 저항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1/8W, 1/4W, 1/2W 등이 있는데 작은 소형기기를 제작할 때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저항은 부품자체가 파손되거나 불량인 경우가 거의 없었습니다. 가격도 저렴하므로 부담 없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기를 제작하다 보면 꼭 사용하게 되는 부품이므로 금방 친숙해 집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