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제작코너

트랜지스터 2개로 만드는 감광버저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회로의 감광 경보버저를 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랍이나 상자에 놓아두면 열었을 때 소리가 나는 버저 입니다. 가장 중심이 되는 부품은 CdS(황화카드뮴) 인데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입니다. 어두울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버저가 울리지 않지만 빛이 비추어 지게 되면 동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부품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품명 규격 이미지 수량

트랜지스터

2SC1815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2

전해콘덴서

100㎌

전해콘덴서

전해콘덴서

1

저항

250㏀

저항

저항

1

저항

500㏀

저항

저항

1

CdS

CdS

CdS

1

버저

버저

버저

1
전지스냅

전지스냅

전지스냅

1
전지홀더

전지홀더

전지홀더

1
만능기판

적당한 크기

만능기판

만능기판

다음의 회로도를 참고하여 준비된 만능기판에 부품을 적절하게 배치 합니다. 회로도에서는 트랜지스터가 2SC372로 되어 있는데 2SC1815로 대치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감광버저 회로도

감광버저 회로도

부품의 수가 적으므로 회로도에 따라 정확히 배치하시고 납땜만 제대로 하시면 실패 없이 완성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회로도를 참고하여 기판 위에 부품을 배치한 사진 입니다. 케이스에 넣을 것을 염두에 두시고 적당한 위치에 드릴로 구멍을 뚫어 준비합니다. 꼭 스페이서를 이용하지 않아도 지우개 같은 것을 같은 높이로 잘라서 기판에 접착제로 붙여서 고정하셔도 됩니다. 무게가 나가거나 꼭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케이스는 근처 가게에서 파는 저렴한 플라스틱 그릇을 이용하였습니다. 구하기도 쉽고 가공하기 편합니다.

CdS가 외부에 드러나야 하므로 그릇의 뚜껑에 구멍을 뚫어 준비합니다. CdS는 뚜껑안쪽에 접착제로 고정하셔도 되고 뚜껑위에 고정하셔도 됩니다.
외부에 잘 드러나기만 하면 됩니다.

부품배치

부품배치

케이스 커버

케이스 커버

케이스는 위와 같이 동네에서 판매하는 싸구려 플라스틱 통을 이용하였습니다. 가급적 용기의 두께가 얇은 것을 선택합니다. 너무 두꺼우면 가공하기 어렵습니다. 제가 선택한 케이스는 보기와는 달리 두툼하여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미리 우측 사진과 같이 뚜껑에 두개의 구멍을 뚫어 CdS를 위치시킬 곳을 마련합니다.

다음은 납땜한 기판의 뒷면 사진입니다. 부품의 긴 다리에서 생기는 여분으로 회로를 연결하는 데 이용합니다. 납땜이 깔끔하게 마무리 되어야 작동이
잘 됩니다. 완성하였는데 작동을 하지 않는다면 부품의 극성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납땜한 부분을 꼼꼼하게 체크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부품의 배치를 적절하게 고려하신 뒤에 고정용 구멍을 사진과 같이 미리 뚫어 놓습니다. 깜빡하고 잊어버리게 되면 납땜 후에 가공을 해야 하는데 아주
불편합니다.

기판 뒷면

기판 뒷면

납땜이 마무리 되고 전원을 연결하여 버저가 울리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입니다. 손으로 CdS를 가리면 소리가 작아지거나 멈추게 됩니다. 중요한 물건이 들어있는 서랍이나 금고등에 넣어두면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러 스위치는 넣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 스위치를 넣어도 됩니다.

다음은 완성하여 케이스에 넣기 전 사진입니다. CdS를 미리 연결하고 동작하는지 테스트 하였습니다.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CdS를 다시 분리하여 미리 가공해 놓은 뚜껑을 통하여 다시 배치하였습니다.

완성사진

완성사진

완성된 감광버저를 케이스에 넣어본 사진 입니다. 건전지를 연결하고 밝은 상태이므로 버저가 울리게 되어 있습니다. 사진을 찍을 때 꽤 시끄러웠습니다. 사진만 빨리 찍고 건전지를 바로 분리시켰습니다.

완성사진

완성사진

뚜껑과 연결된 CdS 사진 입니다. 연결되는 부분에 수축튜브를 씌워 단락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완성사진

완성사진

뚜껑을 완전히 덮어 완성한 사진입니다. CdS만 위에 노출시켜 빛을 잘 감지하도록 하였습니다. 케이스에 버저가 위치하는 부분에 구멍을 뚫어 소리가 밖으로 잘 나도록 해야 합니다. 케이스가 밀폐 용기라서 외부와 통하는 구멍이 없으면 안에서 소리가 울려서 멀리까지 들리지 않습니다.

완성사진

완성사진

제작과정과 완성된 사진을 참고하셔서 더 깔끔하고 작게 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부품이 적고 조립이 쉬워 실패없이 제작하실 수 있을겁니다.

간이 전원장치의 제작

실생활에서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전원장치를 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 6, 9, 12V가 출력되는 간이 전원장치입니다.

제작되는 모든 기기가 전원이 꼭 필요하므로 제작해 두면 두고 두고 활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많은 전지 소비를 줄일수도 있습니다.

간단한 회로를 사용하고 부품수도 적어서 초보자들도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부품을 배치하고 납땜만 잘 하신다면 실패없이 만드실 수 있습니다.

먼저 부품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품명
수량
실리콘다이오드
4
전해콘덴서 (470uF)
1
4단 셀렉터 스위치
1
전지스냅
1
만능기판
적당한 크기
히터 트랜스
1

회로도 입니다.

간이 전원장치 회로도

간이 전원장치 회로도

A’와 B’으로 전원이 나오게 되고 점선으로 된 부분은 사용할 때 미세한 소리(징~하는 소리가 날 때)가 날때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아마 오디오 기기를 연결해서 사용하실 때 그런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회로가 상당히 간단한데 본격적인 정전압 회로는 부품도 많고 회로도 복잡합니다. 다음번에 기회가 되면 본격적인 정전압 전원장치를 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랜스의 출력 전압에 따라서 나오는 전압이 달라지는데 이번에 사용한 트랜스는 3, 6, 9, 12V 가 출력되는 트랜스 입니다. 나오는 전압을 선택하기 위하여 4단 셀렉터 스위치를 이용하였습니다. 다른 부품들은 일반 부품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히터 트랜스

히터 트랜스

실리콘 다이오드

실리콘 다이오드

4단 셀렉터스위치

4단 셀렉터스위치

전해콘덴서

전해콘덴서

만능기판

만능기판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하였는데 가공이 쉽기는 하지만 열을 방출하는 능력은 아무래도 떨어지니까 가능하시다면 가벼운 금속제로 하시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만능기판을 적당한 크기로 자르고 사방에 고정할 구멍을 드릴로 뚫어 놓습니다.

기판의 크기와 각종 부품의 높이를 고려하여 케이스를 미리 가공합니다. 나중에 부품이 배열된 후에 하려면 번잡 하므로 미리 준비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단 정확한 치수를 고려해서 해야만 나중에 또 다시 케이스를 가공해야 하는 불편이 없습니다.

다음 기판과 케이스 가공 사진 입니다.

구멍을 뚫어 준비한 만능기판

구멍을 뚫어 준비한 만능기판

케이스 전면부 가공

케이스 전면부 가공

케이스 측면부 가공

케이스 측면부 가공

회로도를 참고하여 준비한 만능기판에 부품을 배열하고 납땜을 꼼꼼히 합니다. 납땜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전원장치가 잘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실리콘 다이오드는 방향성이 있으므로 띠를 잘 보고 맞추어서 배열을 하고, 전해 콘덴서는 극성(+, -)이 있으므로 바뀌지 않도록 주의하여 배열합니다.

정류되어 나오는 전압을 선택하기 위하여 4단 셀렉터 스위치에 트랜스에서 나오는 출력을 연결합니다. 트랜스의 공통부분(0)과 스위치의 공통 단자를 연결하고 나머지 단자들을 연결합니다. 스위치마다 다를 수 있는데 잘 살펴보시면 어떻게 배열해야 하는지 아실 수 있습니다.

전원선은 미리 케이스 안으로 밀어넣어 중간에 한번 매듭을 지어 빠지지 않도록 준비합니다. 기판을 케이스에 나사로 고정하고 셀렉터 스위치와 전원스위치 등을 케이스에 고정하여 완성합니다. 전원 스위치와 파워 LED는 제가 임의로 넣어보았습니다.

전원이 들어와 있는지 불이 켜진것을 보고 알 수 있어편리합니다. 넣는 위치는 조금만 생각해 보시면 알 수 있으실 겁니다.

다음은 부품의 배열이 끝난 기판과 완성된 전원장치의 사진입니다.

부품 배열이 끝난 기판

부품 배열이 끝난 기판

내부 배선 상태

내부 배선 상태

완성된 간이 전원장치

완성된 간이 전원장치

제작 시간은 자체는 짧지만 부가적인 케이스 가공등이 더 시간이 걸립니다. 부품도 간단하고 복잡하지 않으니 전자공작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는 부담없이 제작해 볼 수 있는 장치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