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회로의 감광 경보버저를 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랍이나 상자에 놓아두면 열었을 때 소리가 나는 버저 입니다. 가장 중심이 되는 부품은 CdS(황화카드뮴) 인데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입니다. 어두울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버저가 울리지 않지만 빛이 비추어 지게 되면 동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부품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부품명 | 규격 | 이미지 | 수량 |
|
트랜지스터 |
2SC1815 |
2 | |
|
전해콘덴서 |
100㎌ |
1 | |
|
저항 |
250㏀ |
1 | |
|
저항 |
500㏀ |
1 | |
|
CdS |
1 | ||
|
버저 |
1 | ||
| 전지스냅 | 1 | ||
| 전지홀더 | 1 | ||
| 만능기판 |
적당한 크기 |
다음의 회로도를 참고하여 준비된 만능기판에 부품을 적절하게 배치 합니다. 회로도에서는 트랜지스터가 2SC372로 되어 있는데 2SC1815로 대치하여 사용하였습니다.
부품의 수가 적으므로 회로도에 따라 정확히 배치하시고 납땜만 제대로 하시면 실패 없이 완성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회로도를 참고하여 기판 위에 부품을 배치한 사진 입니다. 케이스에 넣을 것을 염두에 두시고 적당한 위치에 드릴로 구멍을 뚫어 준비합니다. 꼭 스페이서를 이용하지 않아도 지우개 같은 것을 같은 높이로 잘라서 기판에 접착제로 붙여서 고정하셔도 됩니다. 무게가 나가거나 꼭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케이스는 근처 가게에서 파는 저렴한 플라스틱 그릇을 이용하였습니다. 구하기도 쉽고 가공하기 편합니다.
CdS가 외부에 드러나야 하므로 그릇의 뚜껑에 구멍을 뚫어 준비합니다. CdS는 뚜껑안쪽에 접착제로 고정하셔도 되고 뚜껑위에 고정하셔도 됩니다.
외부에 잘 드러나기만 하면 됩니다.
- 케이스 커버
케이스는 위와 같이 동네에서 판매하는 싸구려 플라스틱 통을 이용하였습니다. 가급적 용기의 두께가 얇은 것을 선택합니다. 너무 두꺼우면 가공하기 어렵습니다. 제가 선택한 케이스는 보기와는 달리 두툼하여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미리 우측 사진과 같이 뚜껑에 두개의 구멍을 뚫어 CdS를 위치시킬 곳을 마련합니다.
다음은 납땜한 기판의 뒷면 사진입니다. 부품의 긴 다리에서 생기는 여분으로 회로를 연결하는 데 이용합니다. 납땜이 깔끔하게 마무리 되어야 작동이
잘 됩니다. 완성하였는데 작동을 하지 않는다면 부품의 극성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납땜한 부분을 꼼꼼하게 체크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부품의 배치를 적절하게 고려하신 뒤에 고정용 구멍을 사진과 같이 미리 뚫어 놓습니다. 깜빡하고 잊어버리게 되면 납땜 후에 가공을 해야 하는데 아주
불편합니다.
- 기판 뒷면
납땜이 마무리 되고 전원을 연결하여 버저가 울리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입니다. 손으로 CdS를 가리면 소리가 작아지거나 멈추게 됩니다. 중요한 물건이 들어있는 서랍이나 금고등에 넣어두면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러 스위치는 넣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 스위치를 넣어도 됩니다.
다음은 완성하여 케이스에 넣기 전 사진입니다. CdS를 미리 연결하고 동작하는지 테스트 하였습니다.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CdS를 다시 분리하여 미리 가공해 놓은 뚜껑을 통하여 다시 배치하였습니다.
완성된 감광버저를 케이스에 넣어본 사진 입니다. 건전지를 연결하고 밝은 상태이므로 버저가 울리게 되어 있습니다. 사진을 찍을 때 꽤 시끄러웠습니다. 사진만 빨리 찍고 건전지를 바로 분리시켰습니다.
뚜껑과 연결된 CdS 사진 입니다. 연결되는 부분에 수축튜브를 씌워 단락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뚜껑을 완전히 덮어 완성한 사진입니다. CdS만 위에 노출시켜 빛을 잘 감지하도록 하였습니다. 케이스에 버저가 위치하는 부분에 구멍을 뚫어 소리가 밖으로 잘 나도록 해야 합니다. 케이스가 밀폐 용기라서 외부와 통하는 구멍이 없으면 안에서 소리가 울려서 멀리까지 들리지 않습니다.
제작과정과 완성된 사진을 참고하셔서 더 깔끔하고 작게 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부품이 적고 조립이 쉬워 실패없이 제작하실 수 있을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