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문자기호 D로 씁니다. 회로도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호로 표시됩니다.
기호에서와 같이 전류가 흐르는 방향은 화살표 끝쪽 입니다. 다이오드의 모양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다이오드 자체를 기준으로 두개의 전극이 나와있고 띠가 표시되어 있어 방향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이오드는 극성을 가진 부품이라서 방향이 중요합니다. 방향이 거꾸로 되면 당연히 작동되지 않습니다.
다음은 여러 가지 다이오드의 모양입니다.
중간의 검은 다이오드가 실리콘 다이오드 이고 맨 아래는 게르마늄 다이오드 입니다.
다이오드에는 게르마늄 다이오드와 실리콘 다이오드의 2가지가 있습니다. 게르마늄 다이오드는 주로 검파용으로 쓰이고 실리콘 다이오드는 정류용으로 사용됩니다. 실리콘 다이오드 4개를 조합하여 간이 전원장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제작코너에서도 소개 되었습니다.
다이오드 중에는 제너 다이오드(정전압 다이오드), 가변용량 다이오드(바리캡), 발광 다이오드(LED)등도 있습니다. 제너 다이오드와 가변용량 다이오드는 거의 써본 적이 없습니다.
반면 발광 다이오드는 상당히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수명도 거의 반 영구적입니다. LED를 부착하고 문제가 생겼던 적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예전에는 빨강, 녹색, 노랑 세가지 색만 있었지만 요즈음에는 다양한 색상의 LED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또 다리가 세개 있어 두가지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LED도 있지만 가격이 조금 비쌌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여러 가지 LED 입니다.
맨 왼쪽의 LED는 가운데 선을 중심으로 전원을 걸어주면 각각 다른 색상을 나타나게 됩니다. 대부분 둥근 모양을 하고 있지만 오른쪽에 있는 것과 같이 세모나 네모 모양을 한 LED도 있습니다.
요즈음은 고휘도 LED라 불리우는 아주 밝은 제품도 있으므로 기호에 따라 사용하시면 되지만 가격이 조금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개인에 따라 너무 밝은 빛 때문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로 PC를 조립하다 보면 케이스 전면에 나타내는 표시등과 메인보드의 점퍼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 케이스 전면에 불이 들어오지 않으면 거의 극성이 바뀌어서 그렇습니다. 방향만 바꾸어 점퍼를 다시 연결해 주면 정상적으로 점멸 됩니다. 대부분 애노우드(anode) 부분의 다리가 더 길어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극성만 제대로 연결하면 거의 100% 동작 합니다. LED 자체가 불량인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